|
|
가재 |
2 강/시내 |  |
알데나드 대륙의 하천과 호수 등지에 널리 서식하는 갈색 민물 갑각류. |
낚싯바늘이 없어도 낚을 수 있다고 할 만큼 식욕이 왕성하다. 눈앞에서 움직이는 물체는 뭐든 집게발로 붙잡으려 한다. |
|
피라미 |
3 강/시내 S (1) | |
하천 중류에서 하류에 걸쳐 서식하는 민물고기. [1등급 이상 수조에서 사육 가능] |
번식기가 되면 머리나 배, 꼬리 지느러미가 화려한 색으로 바뀐다. 이 아름다운 혼인색 때문에 관상어로 인기가 많다. |
|
얼룩망둥이 |
4 강/시내 | |
선명한 줄무늬를 가진 망둥이. 커르다스 및 모르도나 지방의 하천에 서식한다. |
커르다스 민담에 따르면, 옛날에는 하늘을 날아다녔지만 건방진 태도 때문에 신들에게 벌을 받아 물속에서 기어 다니게 되었다고 한다. |
|
울음메기 |
4 강/시내 | |
알데나드 대륙의 호수에 서식하는 소형 민물고기. |
물에서 낚아올리면 등지느러미와 뼈를 비비며 '기기기기기' 하고 낮은 소리로 운다. 낚인 게 억울한 것 같다. |
|
뼈다귀가재 |
5 강/시내 | |
동굴이나 호수 바닥에 서식하는 반투명한 껍데기를 가진 민물 갑각류. |
햇볕이 없는 곳에서 주로 서식하므로 껍질이 희게 바랬다. 특히 탈피 직후에는 거의 투명해진다. |
|
공주송어 |
5 강/시내 | |
육지로 둘러싸인 호수에 서식하는 미스릴빛 민물고기. |
송어낚시 초보자도 쉽게 낚을 수 있는 물고기. 하지만 노련한 어부도 나중에 가면 다시 이 물고기를 즐겨 낚는다고 한다. |
|
어스름망둥이 |
6 강/시내 | |
민물이나 기수에 서식하는 소형 민물고기. |
바일브랜드 섬 민물에서 살게 된 망둥이의 일종. 망둥이는 서식지에 따라 다양한 빛깔을 지닌다. |
|
피피라 |
7 강/시내 | |
비취 호수와 홍차강에 서식하는 사나운 민물고기. |
매우 사나운 육식 물고기. 물에 들어온 아이나 가축을 물어뜯는 경우도 자주 있다. 찜구이로 먹으면 맛있다. |
|
붉은가재 |
8 강/시내 | |
바일브랜드 섬의 하천과 호수 등지에 서식하는 붉은색 민물 갑각류. |
붉은빛을 띠는 가재. 어릴 때는 푸른 기가 도는 잿빛이지만 성장하면서 점점 붉어진다고 한다. |
|
모래무지 |
8 강/시내 | |
하천과 호수 등지에 서식하는 민물고기. |
물속에서 모래를 비집고 숨는 습성이 있다. 그 때문에 라노시아에서는 겁쟁이를 '모래무지 같은 녀석'이라고 부른다. |
|
황동미꾸라지 |
9 호수/늪 | |
야펨 습지에 서식하는 길쭉한 황동색 민물고기. |
미끌미끌하고 길쭉한 물고기. 라라펠족 농민은 즐겨 먹지만 보통 흙비린내가 난다며 싫어한다. |
|
처녀잉어 |
10 강/시내 | |
흰처녀강 수계를 중심으로 많은 수가 서식하는 은회색 민물고기. |
잡식성이라 큼직한 것도 쉽게 잡을 수 있어 어부에게 인기 있다. 소금을 뿌려서 굽기만 해도 맛있다는 점도 인기 비결. |
|
아발라시아 빙어 |
35 강/시내 |  |
아발라시아 산맥의 호수에 서식하는 소형 민물고기. |
아주 작은 물고기. 커르다스 지방에서는 귀한 식재료로 여긴다. 낚은 자리에서 바로 요리해 먹는 사람도 있다. |
|
맹어 |
31 호수/늪 | |
바일브랜드 섬 동굴에 서식하는 눈이 퇴화한 민물고기. |
빛이 없는 곳에서 살다 보니 눈이 퇴화했지만, 천적이 없기에 별 문제는 없다. 물 흐름이 달라지는 것을 감지해 먹이를 잡아먹는다. |
|
진흙짱뚱어 |
13 호수/늪 | |
얕은 호수에 서식하는 소형 민물고기. |
지느러미로 진흙을 기어 다니는 이상한 물고기. 툭 튀어나온 눈은 얕은 물웅덩이에서 적을 발견하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. |
|
무지개송어 |
15 강/시내 | |
모르도나 및 커르다스 지방의 맑은 물에 서식하는 무지갯빛 민물고기. |
털바늘 루어로 낚을 수 있는 물고기. 소금구이는 물론 튀김, 뫼니에르 등 다양한 요리로 만든다. |
|
민물게 |
15 강/시내 | |
에오르제아 전역의 강에 널리 분포하는 민물 갑각류. |
죽은 물고기나 해조류를 먹기 때문에 '강의 청소부'라고 불린다. 이 게가 사라지면 강이 탁해진다고 한다. |
|
검투어 |
16 호수/늪 | |
아름다운 생김새와 어울리지 않게 강한 공격성을 가진 감청색 민물고기. |
호전적이고 영역 의식이 강해서 같은 종을 한 수조에 넣으면 어느 한쪽이 죽을 때까지 싸운다. 굳이 기른다면 한 마리씩. |
|
요정농어 |
17 호수/늪 |  |
알데나드 대륙에 널리 분포하는 소형 민물고기. |
에오르제아에서 흔히 보이는 작은 농어. 서식지가 겹치는 어둑농어와 치열한 생존경쟁을 펼치고 있다. |
|
도토리달팽이 |
17 강/시내 | |
신대륙에서 건너온 작은 달팽이. |
껍질이 동그랗게 말려있다. 떫은맛을 정성껏 빼면 먹을 수 있지만 조금만 잘못 조리해도 매우 비리고 맛없다. |
|
동사리 |
18 강/시내 |  |
오사드 소대륙 원산의 민물고기. |
느리고 둔하지만 먹잇감을 잡을 때는 놀랄 만큼 잽싸게 움직인다. |
|
라노시아 농어 |
18 강/시내 | |
라노시아의 하천과 호수 등지에 서식하는 중형 민물고기. |
이름 그대로 라노시아 하천에서 자주 보이는 물고기. 작은 물고기를 잡아먹기 때문에 피라미 루어로 쉽게 낚을 수 있다. |
|
리믈렌 단검어 |
18 먼바다 | |
가슴지느러미를 펼치고 해수면을 활공하는 바닷물고기. |
커다란 물고기로부터 도망치기 위해 지느러미를 펼치고 날아오르는 물고기. 그 모습은 여신 리믈렌이 던진 단검에 비유된다. |
|
떡붕어 |
19 호수/늪 | |
검은장막 숲의 호수에 서식하는 민물고기. |
옛 전쟁에서 농성전을 벌일 때 식량으로 삼기 위해 가까운 비취 호수에 풀어놓았다는 전설이 있다. |
|
극락어 |
19 먼바다 M (2) | |
남해 원산의 소형 바닷물고기. [2등급 이상 수조에서 사육 가능] |
따뜻한 남쪽 바다에서 자라는 아리따운 물고기. 가끔 해류를 타고 흘러오기 때문에 에오르제아에서도 낚을 수 있다. |
|